2022-07-05l조회수 696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농생명공학부 윤철희 교수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조재호 교수 토토 커뮤니티 순위이 바이러스 감염 예방에 중요한 세포독성T 세포의 새로운 면역학적 기전을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기초면역학 분야 최우수 학술지 중 하나인Science Advances(IF: 14.143)와 Nature Communications(IF: 14.919)에 게재되었다.
세포독성T 세포는비특이적인 외부 자극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는quiescence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윤철희, 조재호 교수 토토 커뮤니티 순위은 이quiescence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새로운 인자를 규명하였다. 사이토카인 신호전달에 중요한 전사인자 중 하나인STAT1이 결핍된 마우스에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특별한 감염이 없더라도 세포독성T 세포가quiescence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점차 활성화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바이러스 감염 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1형 인터페론이 원인임을 규명하였다. 이는STAT1이 인터페론 신호전달 체계의 기존 항바이러스 인자로서 해야 할 역할과는 다른 항상성 인자로서 중요성을 밝힌 창의적 연구 결과이며, 인터페론 신호전달 이상으로 유발된 질환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키는데 이바지했다. 또한 향후 세포T 세포를 타깃으로 하는 면역 치료제 분야 및 백신 효율 증진을 위해서 감안해야 할 새로운 인자를 제시하였다.
윤철희, 조재호 교수 토토 커뮤니티 순위은 또한 바이러스 감염을 통하여1형 인터페론과 세포독성T 세포의 분화 연관성을 연구하여다. 1형 인터페론에 의해 바이러스 감염 시Ly6C를 발현하는 세포들은 단기 생존형effector세포로 분화하는 반면Ly6C를 발현하지 않는 세포는 기억세포 전구체 세포로 분화하였다. 본 연구는 세포독성T 세포가naive(외부항원접촉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자가반응(self-reactivity)과 1형 인터페론 자극의 강도 의존적으로 기억세포 전구체 분화를 유도하는 요인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는 최근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감염성 질병 대응 시 중요한 세포독성T 세포의 분화가 특정 조건에 의해 초기에 결정된다는 근거를 처음으로 제시하였다.